top of page

김  제  민

Kim Jae Min

김제민(1979, 서울)은 연출가이자 미디어 작가로 활동 중이며 공연, 전시, 미디어아트 등 다양한 장르에서 매체융합적인 작업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으로 동시대 질문을 던지고, 인간에 대해 본질적 탐구를 한다. 예술과 과학의 관계 속에 주체와 객체, 가상과 실재, 포스트 휴먼에 관한 주제로 창작에서 발생하는 의미와 지각, 융합과 경계에서 포착되는 미학을 추구한다. 대표작으로 노베첸토(2012), 알유알(2013), 헤테로토피아(2014), I Question(2018), 파포스(2022) 등이 있으며, 한국문화예술위 신진예술가(2007), LIG 링키지아티스트(2010), 서울문화재단 유망예술가(2011), 아르코 차세대연출가(2012), 올해의 젊은 연극인상(2013), 우란문화재단 시야 스테이지 피플(2016) 등에 선정된 바 있다.

경력

(현) 리멘워커(LIMEN WALKER)대표

(현) 미디어아트 그룹 슬릿스코프(SLITSCOPE) 멤버

(현) 서울예술대학교 공연학부 연극전공 교수

(전) 혜화동1번지 5기동인

E. veritas2537@hanmail.net

슬릿스코프  https://blog.naver.com/slitscope

연출

 

2022 인공지능 시극 '파포스',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2021 인공지능 퍼포먼스 '시작하는 아이', 신촌문화발전소

2019 장소특정적 퍼포먼스 '촉, 느낌', 제비꽃다방

2018 전시퍼포먼스 'I Question', 우란문화재단

        장소특정적 퍼포먼스 '냄새피워서 죄송합니다', 홍대 코케인

        '태백산맥 소리지도', 문래예술공장

2017 장소특정적 퍼포먼스 '리딩리디아', 용산 기찻길 주점

        '연-합-시', 경기창작센터

2016 장소특정적 전시퍼포먼스 '살토 모탈레(Salto Mortale)', 대안공간 정다방 프로젝트

        장소특정적 퍼포먼스 'GRIDA-EpisodeⅠ El Castillo', 대안공간 정다방 프로젝트

        'Reset', 인디아트홀 공

        '데이터의 맛', 원픽셀 오프라인

        장소특정적 퍼포먼스 'GRIDA-EpisodeⅡ Mirror', 대안공간 정다방 프로젝트

        장소특정적 퍼포먼스 'Reflection', Pokhara, Nepal

        장소특정적 퍼포먼스 'GRIDA-EpisodeⅢ Steel', 서울혁신파크

        장소특정적 퍼포먼스 'DHOKA', Patan Durbar Square, Kathmandu, Nepal

2015 홍은예술창작센터 하루페스티벌 '영원한 몸', 홍은예술창작센터

        의정부 음악극축제 공식초청 '노베첸토', 의정부 예술의전당 소극장

        장소특정적 전시퍼포먼스 'Euphoria', Vurt

        'EXPANSION', VJing, Vurt

        'PSYNK', VJing, Vurt

        연결합도시, 고등과학원

        네트워킹 퍼포먼스, 문래예술공장

2014 '꼭두각시놀음 조종자편', 연극실험실 혜화동 1번지

        '아름다운 사막', 서완소극장

        '노베첸토', 정동 세실극장

        장소특정적 퍼포먼스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 문화역서울 284, 1,2층 대합실/부인대합실


2013 '알유알(R.U.R.)',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살인자의 수트케이스를 열면', 연극실험실 혜화동 1번지

        서울연극제 공식초청 '알유알(R.U.R.)',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당첨은 꿈꾸는가?', 공동연출,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무림파혈전', 연극실험실 혜화동 1번지

        두산아트랩 '노마일기', 두산아트센터 SPACE1112013

        '노베첸토', 신촌 the stage

2012 '연옥 ; 이탈한 자가 문득', 인천아트플랫폼 C동 공연장

        부산국제연극제 초청 '연옥 ; 이탈한 자가 문득', 공간소극장

        '호접, 66년의 침묵', 연극실험실 혜화동 1번지

        '태아는 꿈꾸는가?', 공동연출,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노베첸토', 연극실험실 혜화동 1번지

2011 '배신', 연극실험실 혜화동 1번지

        '연옥:이탈한 자가 문득', 연극실험실 혜화동 1번지

        NArT 장 페스티벌 '겨울', 남산예술센터

2010 멀티디미어극 '난 새에게 커피를 주었다', LIG아트홀

2009 '트로스키 죽음의 다양함', 상명아트홀 2관

2008 밀양예술축제 젊은연출가전 '난 새에게 커피를 주었다', 브레히트극장

        멀티디미어극 '난 새에게 커피를 주었다', 고양아람누리 새라새극장

2007 '쇼맨샤먼', 대학로 아룽구지 소극장

2006 연출가 데뷔전 '고도를 찾아가는 영映극劇', 연극실험실 혜화동 1번지

        프린지 페스티벌, '고도를 찾아가는 영映극劇', 소극장 예 

전시

 

2022 The Unrestricted Society, Contemporary Culture Lab, Taipei, Taiwan22020

2021 Beyond the Lens: Nano·Bio·Nature특별전, 서울예술대학교 남산캠퍼스 심재순관

        4X4WALLS, Ludenstopia 2.0, 국립아시아문화전당

        Poiesis with AI, 안산문화예술의전당 화랑전시관

        4X4WALLS, Ludenstopia, 삼성코엑스 아티움미디어

2020 개인전 (dis)appearition, 탈영역우정국

        Re-Fest 융합예술 페스티벌, LA Culture Hub

        아트사이언스 페스티벌, 국립광주과학관

        산단비엔날레 주제전, 소촌아트팩토리

201 ACC 미디어아트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18 전시퍼포먼스 I Question, 우란문화재단

2017 ACT Festival Tableau Vivant, 미디어아트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Human Flight, 미디어아트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16 전시퍼포먼스 Salto Mortale, 대안공간 정다방 프로젝트

        전시퍼포먼스 어루만지는 몸, 'Consolation', 유진규 콜라보레이션, 요기가갤러리

        'Severance', ACE Políglota Gallery, Buenos Aires, Argentina

        'Skein', Mcube Gallery, Kathmandu, Nepal

        Vision Cinema 오프닝, 현대자동차

2015 개인전 'City of Light', 홍은예술창작센터 H갤러리

        장소특정적 전시퍼포먼스 'Euphoria', Vurt

        Transient전, 'Catharsis', 서울혁신센터

2014 SDF(Seoul Digital Forum), Media Facade, DDP 알림1관, SBS

        장소특정형 전시퍼포먼스 'Heterotopia', 문화역서울 284, 1,2층 대합실/부인대합실

        Son et lumière 스크리닝, 'Chain Reaction', 홍대CGV ScreenX 1관

2012 Butterfly, single channel video, 인천아트플랫폼
2011 [Beytral], video, 인천아트플랫폼 전시장, 인천

2007 HELLO! JITTER전, [Cage], video, 미디어스페이스 갤러리, 서울

2006 Hun Gallery International 2006 [Didi&Gogo], video, HUN gallery, New York, USA

공연영상

2020 '비욘드 블랙', NaverTV, VLIVE, 국립현대무용단

        한국현대춤작가 12인전 'IT 2.0', 유니버설 아트센터 대극장

2019 서울무용제 'IT',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새닙곳 나거든, 우란문화재단

2018 맨 메이드, LG아트센터

2017 뮤지컬 '앨리스', 서대문문화회관/경기문화의전당/인천종합예술회관

        '자울아배 하얘',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나는 바람,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화이트 크리스마스 콘서트,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

2016 '언어게임 Com+POSITION', 서울시민청 바스락홀
        '도시의 유혹에 빠지다',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화이트 크리스마스 콘서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뮤지컬 '호오이 스토리', 제주아트센터

2015 'Graying', LG아트센터

        '클럽 살로메', 프로젝트 박스 시야

        '더태권포스', 이화여고 100주년 기념관/고양 어울림누리 별모래극장

        '썸머클래식',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조치원 해문이',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

        '노크하지 않는 집',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2014 '1984', 두산아트센터 SPACE111

        '투명인간', 남산예술센터

        '노크하지 않는 집',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두레',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노닐다',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오르간의 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2013 '몸의 탐구',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Sing Along Concert', 청주문화예술의 전당

        파이프오르간 듀오 연주회,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노크하지 않는 집',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2012 '사랑을 찾아서', 창조아트홀

        '뿌리깊은나무', 용극장

        파이프오르간 듀오 'Bon Voyage',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안무와 영화의 융합 창작 퍼포먼스, 아르코 예술가의 집

2011 '숨', 미디어 퍼포먼스, 전주 한옥마을

        '아트콘서트', 강남구청

        문화재청 50주년 오프닝 퍼포먼스, 국립고궁박물관

        '물과 꿈', 창무포스트 극장

        '충무공 이야기', 세종문화회관 및 광화문광장

2010 '인내의 돌', 행복한 극장

        '오래된 아이', 순회

        '궁, 발레랑 노닐다], 서울 발레시어터, 운현궁

        '달꿈 보름땅', 국립국악원 예악당

        국악콘서트 '다담', 국립국악원 우면당(10~11)

2009 '새 새',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오이디푸스',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달의 노래', 청주 문화예술의 전당 대극장

        '골통' 아리랑 소극장/서강대 메리홀

        '미소2', 명동예술극장

        '소나기', 문신미술관 빛갤러리

2008 전통공연예술아카데미, KNUA중극장

        '달의 노래', 청주 문화예술의 전당 대극장

        'Sound of shaman', KNUA중극장

        Network Performance '천.지.인.간.', KNUA중극장

        CT페스티벌 퓨전퍼포먼스, 상암 DMC 디지털 파빌리온

        SES-Korea Festival, 숙명아트센터

2007 오페라 '마술피리', 예술의 전당 토월극장(07-08)

        '천개의 숨바꼭질', 홍대 KT&G상상마당

        '선동', 안산문화예술의전당

2006 '한정림의 음악일기', 동숭아트센터 소극장

        '흡혈귀', 인아소극장

        '판 노름마치', 삼성 코엑스 아트홀

레지던시

2022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레지던시, 광주

2018 우란문화재단 레지던시, 서울
2017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레지던시, 광주
2016 ACE 레지던시,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Mcube 레지던시, 카투만두, 네팔

2014 홍은예술창작센터 레지던시, 서울
2011 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 인천

2007 국제공연예술 레지던시, 경기

출간

2022 인공지능 시집 '시를 쓰는 이유'

bottom of page